목록분류 전체보기 (12)
asel0joo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확장 및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은 '컨테이너(Container)'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실행에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 구성 파일 등을 묶어 하나의 단위로 만든 것입니다. 덕분에 어디서나 동일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죠. 컨테이너 기술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가 '도커(Docker)'인데, 쿠버네티스는 이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쿠버네티스의 핵심 개념들 1. Pod(파드): -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작은 배포 단위입니다. 하나의 파드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컨테이너..
바이너리란 무엇일까요?여러분은 숫자를 셀 때 어떤 숫자들을 사용하나요? 우리는 보통 0, 1, 2, 3, 4, 5, 6, 7, 8, 9 이런 숫자들을 사용해요.이런 숫자 체계를 십진법이라고 해요. 그런데 컴퓨터는 우리처럼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쓰지 않아요.컴퓨터는 오직 0과 1만을 사용해서 모든 것을 표현해요. 이것을 이진법, 또는 바이너리라고 불러요.왜 컴퓨터는 0과 1만 사용할까요?컴퓨터는 전기를 이용해서 작동하는 기계예요. 전기는 켜짐과 꺼짐 두 가지 상태만 있을 수 있어요. 그래서 컴퓨터는 이 두 가지 상태를 '1(켜짐)'과 '0(꺼짐)'으로 표현하는 거예요. 이렇게 단순한 신호로 복잡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어요!바이너리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이제 이진법이 어떻게 숫자를 표현하는지 알아볼까요? ..

3계층 아키텍처(3-Tier Architecture)는 데이터 백업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백업 시스템을 세 개의 주요 계층으로 나누어 관리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보호와 복구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전체 백업 시스템의 기능을 완성합니다. * 3Tier Architecture 구성요소1. 백업 서버 계층 (Backup Server Tier, Master Server, Director )2. 백업 클라이언트 계층 (Backup Client Tier, Agent, File Daemon)3. 저장소 계층 (Storage Tier, Storage Daemon) 1. 백업 서버 계층 (Backup Server Tier, Ma..

개념인터넷을 통해 Data 저장, 서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사용하는 모델 특징물리적 하드웨어를 소유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자원을 유연하게 사용 및 확장이 가능함 장점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자원을 실시간으로 요청하고 사용할 수 있음인터넷만 있다면 어디에서든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있음필요한 자원을 신속하게 확장 or 축소할 수 있어 빠른 대응이 가능함사용량에 따라 지불 가능자원 사용량이 투명하게 측정되고 보고됨 종류 및 비교특징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정의제3자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며 여러 사용자가 공유단일 조직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

1. 인프라의 구성 요소하드웨어(HW)눈에 보이는 기계!서버, 스토리지, 전원 장치 등네트워크(Network)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장비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 네트워크 장비 및 케이블 배선 등소프트웨어(SW)컴퓨터 및 서버에 설치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운영체제(OS), 어플리케이션 등 2. 온프레미스 VS 퍼블릭 클라우드 장점단점온프레미스(On-premises)- 직접 관리할 수 있음-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보안이 더욱 탄탄함-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대기업의 경우 유리함- 초기 구축 비용 많이 듬- 사용 예측량을 가늠하기 힘듦- 사용량이 적어도 유지 비용은 그대로 지출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초기 구축비용 적음- 적게 사용하면 적은 비용 지출- 트래픽 양에 따라 유..

✔️OSI 7계층 데이터를 보낼 때, 각 계층을 순차적으로 거쳐 전달해야 함. 건너뛰어 다음 단계에 데이터를 보낼 수 없음! 각각의 레이어별로 꼭 필요한 기능이 정의되어 있음. layer 5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하나만 선택해 사용할 수 있고,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음. 중간에 있는 다른 기능을 바꿔주면 다른 계층과 호환이 안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그때그때 필요한 부분만 수정해주면 되기 때문에 계층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임 1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 송수신 함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물리적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담당 대표적인 프로토콜 : Ethernet(이더넷) 프로토콜 ..
1. sudo sudo 명령어 : root 권한으로 실행하기 root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경우, 해킹이슈가 있을 수 있기때문에 대체로 sudo 명령어를 사용함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 root 권한이 필요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ex) sudo apt-get update 2. 기본 명령어 : clear, pwd, cd clear : 명령창 깔끔히 정리 pwd : 현재 디렉토리 위치 cd : 디렉토리 이동 cd .. : 상위폴더 이동 cd ~ : home으로 이동 cd /ubuntu : 해당 폴더로 이동 ls : 파일 목록 출력 숨김파일 이외의 파일, 폴더 보여줌 숨길파일까지 보려면 ls -al 치면 됨 3. 권한 설정 명령어 : chmod, cat, rm chmod ..
🔶리눅스 파일 시스템 '모든 것 = 파일' 이라는 철학이 있음 모든 행위는 파일을 읽고, 쓰는 것처럼 이루어져 있음 마우스, 키보드 등도 파일처럼 다루어짐 파일 네임스페이스 A드라이브, C드라이브 없음 네임스페이스 사용함 ex) /program/file/apple.jpg 🔶리눅스 쉘 쉘 종류(쉘? 명령어 해석기) Bourne-Again Shell (bash) : 리눅스의 디폴트 쉘 Bourne Shell (sh) C Shell (csh) Korn Shell (ksh)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