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l0joo
백업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3Tier Architecture란? 본문
3계층 아키텍처(3-Tier Architecture)는 데이터 백업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백업 시스템을 세 개의 주요 계층으로 나누어 관리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보호와 복구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전체 백업 시스템의 기능을 완성합니다.
* 3Tier Architecture 구성요소
1. 백업 서버 계층 (Backup Server Tier, Master Server, Director )
2. 백업 클라이언트 계층 (Backup Client Tier, Agent, File Daemon)
3. 저장소 계층 (Storage Tier, Storage Daemon)
1. 백업 서버 계층 (Backup Server Tier, Master Server, Director)
백업 서버 계층은 백업 작업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중앙 서버입니다. 백업 클라이언트 계층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소 계층에 전송합니다. 또한, 백업 계획을 수립하고, 일정에 따라 백업 작업을 수행하며, 복구 요청이 있을 때 데이터를 찾아 클라이언트에 제공합니다.
ex) 백업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중앙 서버, 백업 관리 서버
2. 백업 클라이언트 계층 (Backup Client Tier, Agent, File Daemon)
백업 클라이언트 계층은 데이터를 백업하려는 장치나 시스템입니다. 서버, 데스크탑, 노트북 등의 각종 컴퓨터와 장비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계층은 백업 서버 계층에 백업할 데이터를 전송하며, 복구 요청 시 데이터를 받아 복원합니다.
ex) 회사의 각종 서버, 개인 컴퓨터, 모바일 장치
3. 저장소 계층 (Storage Tier, Storage Daemon)
저장소 계층은 백업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는 장소입니다. 이 계층은 디스크, 테이프,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 다양한 매체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저장소 계층은 데이터의 장기 보관과 보안을 담당하며, 필요 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ex) NAS(Network Attached Storage), SAN(Storage Area Network),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 3Tier Architecture 장점
- 확장성: 각 계층을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 증가하는 데이터와 백업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유지 보수성: 문제 발생 시 특정 계층만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어,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 효율성: 데이터 백업과 복구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함으로써 전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보안: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데이터 보호와 접근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시나리오
1. 백업 과정:
- 회사의 각 서버(백업 클라이언트 계층)에서 백업 서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백업 서버는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소 계층에 저장합니다.
2. 복구 과정:
- 특정 데이터가 필요할 때, 복구 요청을 백업 서버에 보냅니다.
- 백업 서버는 저장소에서 데이터를 찾아 클라이언트에 전달합니다.
'IT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Kubernetes)란 무엇인가? (2) | 2024.08.29 |
---|---|
바이너리란? (0) | 2024.08.10 |
클라우드(Cloud)란? 클라우드의 개념, 특징, 장점, 종류 및 비교 (0) | 2024.07.18 |
간단하게 살펴보는 IT infra (0) | 2024.07.05 |
[CS지식] 네트워크 : OSI 7계층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