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l0joo
클라우드(Cloud)란? 클라우드의 개념, 특징, 장점, 종류 및 비교 본문
개념
- 인터넷을 통해 Data 저장, 서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고 사용하는 모델
특징
- 물리적 하드웨어를 소유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자원을 유연하게 사용 및 확장이 가능함
장점
-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자원을 실시간으로 요청하고 사용할 수 있음
- 인터넷만 있다면 어디에서든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있음
- 필요한 자원을 신속하게 확장 or 축소할 수 있어 빠른 대응이 가능함
- 사용량에 따라 지불 가능
- 자원 사용량이 투명하게 측정되고 보고됨
종류 및 비교
특징 |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정의 | 제3자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며 여러 사용자가 공유 | 단일 조직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한 환경 |
예시 | AWS, MS Azure, Google Cloud | 조직 내부 데이터 센터 또는 서드파티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 | .AWS와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결합 |
보안 | 보안은 제공자에 의존, 다중 사용자 환경 | 높은 보안성, 조직 내부에서 관리 | 중요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나머지는 퍼블릭에 저장 |
확장성 | 매우 높음 | 물리적 인프라 한계에 따름 | 필요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로 확장 가능 |
비용 | 사용한 만큼만 지불, 초기 비용 적음 |
초기 구축 비용 높음, 유지보수 비용 발생 |
초기 비용 +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료 |
제어 | 제어권 제한적, 초기 비용 적음 | 초기 구축 비용 높음, 유지보수 비용 발생 |
초기 비용 +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료 |
유연성 | 매우 유연, 인터넷 연결만 있으면 어디서나 사용 가능 | 유연성 제한적, 주로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 |
복잡성 높음, 두 환경을 통합 관리 |
관리 부담 | 관리 부담 적음, 제공자가 대부분의 관리 수행 | 높은 관리 부담, 조직 내부에서 직접 관리 |
복잡성 높음, 두 환경을 통합 관리 |
주요 사례 |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스타트업, 비정형 데이터 분석 |
민감한 데이터 처리, 규제가 많은 산업, 대기업 |
데이터 백업 및 복구, 비즈니스 연속성, 혼합 워크로드 처리 |
'IT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너리란? (0) | 2024.08.10 |
---|---|
백업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3Tier Architecture란? (0) | 2024.08.01 |
간단하게 살펴보는 IT infra (0) | 2024.07.05 |
[CS지식] 네트워크 : OSI 7계층 (0) | 2023.03.23 |
[CS개념] 리눅스 명령어 : sudo, clear, pwd, cd, chmod, cat, rm (0) | 2023.03.21 |